창덕궁 후원 북쪽 가장 깊숙한 곳에 흐르는 개울이다.
1636(인조 14)년 거대한 바위인 소요암을 깎아 내고 그 위에 홈을 파서 휘도는 물길을 끌여 작은 폭포를 만들 었다.
그 폭포가 떨어져 옥류천이 시작된다.
때로느 흐르는 물 위에 술잔을 띄우고 시를 짓는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을 벌이기도 했다.
바위에‘옥류천(玉流川)’이라고 새긴 세 글자는 인조가 직접 쓴 글씨이다.
그 글씨 바로 위에는 숙종이 직접 지은 '오언 절구' 도 함께 새겨져 있다.
소요정(消遙亭), 태극정(太極亭), 농산정(籠山亭), 취한정(翠寒亭)등 작은 규모의 정자를 곳곳에 세워,
어느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여러방향으로 분산되는 정원을 이루었다.
작은 논을 끼고 있는 청의정은 볏짚으로 지붕을 덮은 초가이다.
(동궐도)에는 16채의 초가가 보이는데 아쉽게도 지금은 청의정만 궁궐안의 유일한 초가로 남아 있다.
'동궐도'의 옥류천 모습......
'옥류천'........
飛流三百尺, 삼백 척 높이에서 날아 흐르니
遙落九天來. 저 멀리 하늘에서 떨어져 내리는 듯.
看是白虹起, 바라볼 땐 흰 무지개 일어나더니,
?成萬壑雷. 갑자기 온 골짜기 우레 소리 이루었네.
소요정 .......
'소요(逍遙)'란 구속 없이 천천히 노닌다는 의미이다.
임금이 때로 정무를 다 잊고 천천히 거닐며 해방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소요정은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성종고ㅏ 선조의 어필 게판이 걸려있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조선전기에 세운 것이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1636년(인조14)에 재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처음에는 '탄서정'으로 불렸으나, 인조 때 소요정으로 그 이름을 바꾸었다.
네모 반듯한 사모정의 형태이며, 천장 한 가운데에는 연꽃문양을 그려 넣어 장식하였다.
태극정 .......
인조 14년(1636)에 세웠으며, 원래 운영정(雲影亭)이라 불렀다가 태극정(太極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굴도리를 엮은 정면 1칸·측면 1칸 크기의 겹처마 사각정자이다.
내부에 마루를 깔고 퇴를 달아 평난간을 둘렀다. 천정은 우물천정이고, 지붕 꼭대기는 절병통을 얹어 마무리하였다.
정조의 '태극정시(太極亭詩)', 숙종의 '상림삼정기(上林三亭記)' 등 태극정을 노래한 어제(御製)가 전해진다.
상림삼정이란 옥류천변의 소요정, 청의정,태극정을 일컫는 말이다.
취한정 .......
'취한(翠寒)' 은 '푸르고 서늘하다[翠寒]는 의미이다.
취(翠)는 푸른빛, 한(寒)은 차갑다는 뜻으로, 푸른 숲으로 감싸여 서늘하다는 의미이다.
중국 송나라 효종(孝宗, 1127~1194년)이 대궐 안에 취한당(翠寒堂)을 짓고 그 안에서 대신들과 정무를 처리한 일이 있다.
창건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숙종 이전부터 독서와 휴식의 공간으로 사용된 듯하다.
정면3칸, 측면 1칸의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본래 마루 바닥에 방이 있었으나 현재는 방이 없어져 개방된 형태이다.
'여행 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완주 화심리 '화심두부' ........... 111112. (0) | 2011.11.15 |
---|---|
강화 석모도 '보문사' ......... 111102. (0) | 2011.11.05 |
창덕궁 후원(존덕정 일원) ........ 111027. (0) | 2011.11.01 |
칭덕궁 후원(애련지와 의두합, 연경당) ......... 111027. (0) | 2011.11.01 |
창덕궁 후원(부용지와 주합루)......... 111027. (0) | 201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