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사 .....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인 조계사의 말사이다.
한국의 3대 해상관음기도장 가운데 하나이다.
635년(선덕여왕 4)에 창건했다고 하며, 이 마을에 살던 한 어부가 그물을 쳤다가 불상과 나한상 22구를 건져올렸는데
꿈에 나타난 스님이 일러준 대로 현재의 석실(石室)에 봉안했다는 전설이 있다.
1812년(순조 12)에 홍봉장의 도움을 받아 중건했으며,
1893년(고종 30)에는 민비의 전교로 요사와 객실을 중건하는 등 여러 차례의 중건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 당우로는 대법당·관음전·나한전·대방·종각·석실 등이 있다.
특히 이 절의 역사를 대표하는 순례지인 석실(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7호)의 입구에는 3개의 홍예문이 있고,
동굴 내에는 반원형의 좌대를 마련하고 탱주(撑柱)를 설치했는데 그 사이에 있는 21개의 감실(龕室)에는 석불을 안치했다.
'일주문'.....
일주문을 지나 오르는 길에...... 산사에 내리는 가을이 넘 이쁘다!~~~
경내에 들어서면 가장 눈에 띄는 ...... 저 산 위에 '마애석불'이 .....
보문사 경내 전경 ......
극락보전 .......
현재 정면 5칸 측면 3칸의 커다란 규모로 보문사를 찾는 사람을 반기고있다.극락보전의 내부 넓이는 약 60평이며, 이곳에 관음보살상을 포함해 3,000불이 모셔져있다.
법고, 운판, 목어가 있는 '법음루' .......
보문사의 '목어' ......
석실(왼편), 산 위의 '마애불', 삼성각, 극락보전 ......
보문사 석실 ......
나한을 모신 나한전으로 넓이가 97평이나 되는 석굴 법당이다.
홍예문을 들어서면 천연동굴 안에 석가모니불, 미륵, 제화갈라보살, 나한상을 안치한 23개소의 감실이 있다.
인천광역시유형문화재 제27호.
석실앞 향나무는 용이 하늘로 승천하는 기이한 형상의 기이한 모습이다.
6.25 동란때 죽은 것 같이 보이다가 3년 후 다시 살아 났다고 한다.
'마애불'로 가는 길 ......
소망을 담는 유리병 .......
바위벽에 10미터의 높이로 조각되어 있는 '마애불상' ......
예까지 갈려면 보문사 대웅전 옆으로 4백개의 계단을 약20분 쯤 올라가야 하는 데,힘들게 올라가고 나면 마애불상이 특유의 미소를 머금고 힘들게 찾아온 참배객들을 은은한 미소로 반겨준다.
눈썹바위불'에서 내려 다 본 ...... 보문사가 한 눈에 들어 온다.
범종각 .......
보문사 범종!!
범종이란, 사찰에서 시간을 알릴때나 대중을 집합시키고, 의식을 행할 때 쓰이는 종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것은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 이후의 작품이며,
세부장식이 정교하고 울림소리가 웅장하여 동양 삼국의 종 가운데 으뜸으로 꼽힌다.
보문사 맷돌 .....
일반 맷돌의 두세 배에 달하는 크기를 가진 맷돌은 보문사가 예전에 얼마나 큰 절집이었는가를 보여주는 유물이라고 할 수 있다.보문사가 번창할 때 보문사에는 승려와 수도하는 사람들이 300여 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이 많은 사람들이 먹을 음식을 마련하기 위해서 사용했던 맷돌이다.
보문사 맷돌은 지름이 69cm, 두께가 20cm로 혼자 힘으로는 돌아가지도 않았을 것 같다.
부처의 제자인 5백 나한을 모신 '나한전'......
111102.
'여행 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주 이포보 .......... 111126. (0) | 2011.11.29 |
---|---|
전북 완주 화심리 '화심두부' ........... 111112. (0) | 2011.11.15 |
창덕궁 후원(옥류천 일원) .......... 111027. (0) | 2011.11.01 |
창덕궁 후원(존덕정 일원) ........ 111027. (0) | 2011.11.01 |
칭덕궁 후원(애련지와 의두합, 연경당) ......... 111027. (0) | 201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