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여행길~ 출사길~

봄 날~~창경궁에서 ........ 120417.

헤라써니 2012. 4. 20. 18:38

                         봄이 오면~~~꼭  창경궁으로 가 봐야지 했었네요~~

                      왜?..... 나의 살던 고향은~~~♪♪~~♪ ...... ㅋㅋ

 

                      작년 야경 찍는 다고 왔다리 갔다리 하면서 자세히 둘러 보지 못함도 못내 아쉽고!~~~

                      물론 발걸음한 이 날 또한 여유있는 시간은 아니였지만......

                      2 ~ 3일만에 훅~~ 해버리는 벚꽃 땜시..... 무리하게 움직여 보았네요.

                      예상대로 홍화문 안으로 들어서자  진한 꽃향이 훅~~했답니다...... ㅎㅎ

 

 

                     '옥천교의 금천(禁川) .....

                      '앞에는 물 뒤에는 산'.... 이 개울이 '배산임수'를 위한 물이라 합니다..

                      금천은 삼청공원 뒤편의 옥류천에서 흘러드는 자연천이고,

                      창경궁 전각들 위로 우뚝 솟아있는 '북악산의 매봉'이 보인다 하니 딱 들어 맞는 명당의 조건이라 하네요!~

 

 

                      창경궁은 '동향'이라 합니다.

                      사대문 안의 궁궐은 대부분 남향인데....

                      이유는 왕보다는 '윗사람'들을 위해 지었기 때문이라 합니다.

                      처음에는 세종이 은퇴하신 아버지 태종을 위해 조그만 거처(수강궁)를 마련 했고,

                      그걸 성종 때 한껏 키워 '재건축'한게 창경궁이라 합니다.

                      성종 역시 조모인 정희왕후와 생모인 인수대비, 숙모인 인순왕후 등 윗전을 모시기 위해 지었다고......

                      그래서 왕이 머물던 창덕궁의 왼쪽에 동향의 궁궐을 지었다 합니다.             

 

                     

 

                      '명전전'..... 조선 왕궁의 법전 중 가장 오래 되었다 합니다.

 

 

 

 

 

                    물을 가득 담아 화마를 쫓았다는 청동 '드므'....... 현재인 오늘에도 당당히 그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명전전 내의  ' 일월오악도'.....
                     정전 명정전 건물 내부에는 임금님이 앉으셨던 용상이 있고 그 뒤에는 ‘일월오봉병’이라는 병풍이 있습다.

                     해와 달은 왕과 왕비 또는 음과 양을 상징하고,

                     다섯 봉우리의 산은 오행과 우리나라의 5대 명산인 백두산, 묘향산, 금강산, 북한산, 지리산을 뜻합다.

                     음양오행의 어우러짐, 그리고 5대 산으로 상징되는 우리 전국토를 왕과 왕비가 잘 다스림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궁궐 지붕에는 모두 왕을 상징하는 '용마루'있습니다.

                     그런데 왕후의 처소에만 용마루가 없답니다.

                     이 곳 창경궁 '통명전'에도 용마루가 없습니다.

                     '통명전'은 왕과 왕후의 침전이었으니 왕자를 잉태하는 장소이고,  '왕'이 '용'이면 왕자도 '용'이라지요.

                     그런데 지붕에 용마루가 있으면 용이 어린 용을 눌러 기운이 좋지 않다고 여겼기 때문이라 합니다......      

  

 

                    '통명전' 뒤에는 오래된 우물이 하나 있습니다.

                    사각 반듯한 우물 옆 돌담에는 '열천'이라고 새겨져 있고,

                    '이가 시리도록 맑은 물' 이라는 뜻으로 영조가 직접 쓴 글이라 합니다.

                    무수리 출신인 영조의 어머니 '숙빈 최씨'가 무척 아끼던 곳으로 어머니를 향한 영조의 심정이 담겨져 있는 곳이기도 하네요~

 

 

 

 

 

 

 

 

                     통명전을 내려다 보고 있는 윗뜰에 참꽃도 오늘이 한창이네요~

 

 

                     인조가 창경궁에 들어 와 마물렀다는 '환경전'....

 

 

                     '성종태실비'.....

                     조선시대에는 왕자의 탯줄을 도자기에 담아 전국 명당 자리에 묻었다 합니다.

                     하지만 일제가 성종태실을 궁으로 옮기면서 창경궁을 격하 시켰다 합니다..... (이런......)

 

 

                     '춘당지'의 봄빛입니다.....

                     춘당지의 벚꽃은 벌써 져 버렷네요!~~~

 

 

                    노송들 사이로 스며드는 봄빛이 너무나 이쁩니다.......

 

 

 

 

 

                     '창경궁의 주목'......역사의 산증인으로 '명전전'을 행해 굽어 있네요~~

 

 

 

 

 

 

 

 

 

 

 

                     창경궁에는 많은 고목(古木)들이 세월을 지키고 있지만,

                     그러나 이 회화나무처럼 고통의 사연을 깊게 지니고 있는 나무가 또 있을까요?

 

                     .

                     .

                     창경궁 문정전 앞에서 아버지 영조에 의해 뒤주에 갇힌 사도세자는

                     곧장 창경궁 동편 담장의 작은 문 '선인문' 근처로 옮겨진다.

                     안타깝게도 뒤주는 잘 자라고 있는 회화나무 앞에 놓여진다.

                     그리고 회화나무는 뒤주 속에서 들여오는 단말마 같은 사도세자의 비명을 모조리 듣게 된다.........

 

                    그래서일까요.   나무는 나무는 땅을 기듯이 기묘하게 뒤틀어져 낮게 낮게 버팅기고 있는듯 합니다.

 

 

 

 

 

 

 

 

 

 

 

 

 

                     .

                     .

                     .

                     창경궁에서 봄을 맞아 하고 왔네요!~~~

 

                      12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