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여행길~ 출사길~

율곡선생유적지, 자운서원 ......... 110830.

헤라써니 2011. 9. 1. 00:43

                   '율곡선생유적지'.......

 

        

 

 

               '율곡선생유적지' 내의 '율곡기념관'.......

                                     

                                         

                                                                                                    ................ 펌 해온 사진입니다.

                    율곡기념관........ '2층 전시실 .....

 

 

 

                     신사임당의 그림.......

 

 

 

                   이매창이 '매화도'.......

 

             "매창"은 신사임당의 첫째 딸로서 어머니를 닮아

               시,서,화에 능하였으며 어릴 때부터 그림에 소질을 보였던

               매창에게 사임당은 직접 그림 뿐만 아니라 그림을 그릴 때의

               마음가짐도 함께 일러주었다 한다.

               덕분에" 매창 "또한 조선 시대 유명한 화가이자

               시인으로 이름을 떨칠 수 있게 되었다.

 

 

 

 

 

 

 

 

 

 

 

 

 

 

                    율곡선생의 일대기를 인형으로 꾸며 놓았다.

 

 

 

 

 

 

 

 

 

 

 

                   율곡기념관에서 바라 본 풍경............ 왼편 저 끝이 '자운서원' ...... 오른편 숲 속이 '율곡성생 가족묘'가 있는 곳.....

 

 

 

                    '공사중인 관계로 '여현문'을 담지 못한 아쉬움이.....

                                                                                                                                ............... 펌 한 사진.

 

 

                 

 

 

 

                    '신사임당의 묘".......

 

 

 

 

 

 

 

                  신사임당 묘비 앞에 좌,우로 있는 ;문인석'........   

        

 

 

 

 

 

 

                     '율곡선생의 묘'......

 

 

 

 

                  

                                                                              ............ 묘비의 상처는 6.25때 총탄자국이라 한다.

                이곳엔 모두 13기의 묘가 있다.

                한 가문의 묘가 같은 지역에 족 분을 이루는 것은 성리학의 주자가례의 영향으로 고려 말부터 행해져 조선시대까지 친족 공동 묘가 일반화되다시피 했다한다.

                맨 위에 율곡내외 묘가 앞뒤로 자리 잡고 그 앞에 율곡 맏형 부부 합장묘,

                그 앞에 율곡의 부모 이원수와 신사임당의 합장묘,

                그 앞에 율곡 맏아들 부부의 합장묘가 세로 일자로 자리 잡은 다음,

                좌우로 다시 누이, 매부, 5대손, 8대손까지 집결해 있는 광범위한 가계 묘이다.

                자식의 묘가 부모의 묘 보다 위쪽에 있는 형태를 '역장 묘'라 하는데

               조선시대에서는 상당히 파격적인 형태로 아마 율곡 선생의 학문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그리고 선생의 묘 위쪽에 있는 묘는 첫 번째 부인인 노 씨의 묘인데 원래 부부는 합장묘 형식을 취하지만 그렇지 못한 사연이 있다.
               율곡 선생이 죽고 부인 노 씨는 임진왜란을 맞게 되어 남편의 묘를 지키기 위해 몸종 둘과 함께 이곳으로 왔다고 한다.

               그러다가 이곳에서 왜병들을 만나자 몸종과 함께 자결을 했는데 전쟁이 끝나고 난 후

               세 사람의 뼈만 남아 있으니 어느 것이 노 씨의 뼈인지 구분할 길이 없어 어쩔 수 없이 율곡 선생과 합장을 하지 못하고 따로 봉분을 만들었다고 한다.

                .

                .

 

                율곡선생 묘에서 내려다 본......

 

 

 

 

 

 

 

 

 

 

 

 

 

 

 

 

 

 

 

                      '자운서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7호이다.

               1615년(광해군 7)에 창건되었으며, 이이(李珥)의 위패를 모셨다.

               1650년(효종 1)에 사액서원이 되었다. 그뒤 김장생(金長生)·박세채(朴世采)를 추가 배향했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1969년 복원되었다.

 

 

 

 

 

                    정면에 '강인당'.....

                 우측이 입지재(동재) 와 좌측에 수양재(서재)는 유학생들이 묵었던 기숙사다.

 

 

 

                     '강인당'........ 강학공간의 중심이 되는 건물로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이며 1977년 복원 되었다.

 

 

 

                    1982년 보호수로 지정된 강인당 앞 느티나무는 수령이 400년 가까이 되며높이 20m, 둘레 5m에 이른다.

 

 

 

 

 

 

 

                    율곡의 위패를 모신 사당인 '문성사'......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의 아담한 규모이며 사당안에는 이이의 영정을 중심으로

                좌우로 김장생과 박세체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관세위'...... 제향 때 여러 제관이 손을 씻는 곳이다.

 

 

 

 

 

 

 

 

 

 

 

                   이이선생 '신도비'..........

 

 

 

                    역쉬 군데 군데 총 맞은 자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