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여행길~ 출사길~

엄마랑!~아빠랑!~삼촌이랑!~~ 화성 용주사에서........ 120209.

헤라써니 2012. 2. 12. 23:40

                     1월 ...... 한 달 마무리를 끝내고,

                   2월 ...... 구정, 시아빠 제사, 친정아빠 생신...이리 굶직한 행사를 마치고,

                   또 최근 몇일 강추위에 꼼짝을 못하다 보니 아!~~ 그제사야 방학이구나 싶다...ㅎㅎ

                   마침 오늘(9일) 오후 부터 날이 풀린다기에....언능 '아빠!~~ 가자!~~'

 

                   이번 역쉬 많이 걷기 힘들어 하시는 엄마를 위해 가까운 곳으로 가능한 차로만 이동하는 곳으루....

 

                   '용주사'...... 중학교 입학하여 처음으로 간 소풍지였던 것같다.

                   ㅋㅋ........ 허나 그때의 기억이 잘.....^^;;

                    단 오데~~오데서만이 깔깔거리며 개구지게 사진 찍었던 장소는 기억이 생생하다.....ㅋㅋ

 

                    절 입구에 '홍살문'이......다른 사찰과는 달리 정조대왕이 사도세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용주사를 창건하고,

                    '호성전'을 건립하여 사도세자의 위패를 모셨기 때문이라 한다.

 

                  

 

                   홍살문을 지나....... '삼문각과 해태상'.....

                   삼문..... 이 또한 사찰에서 사용하지 않는..... 삼문 양쪽으로는 행랑채가 있고

                   문앞에는 해태상이 있는 등 궁월양식을 따랐다.

 

 

 

 

 

 

 

                   비참한 최후를 맞이 했던 사도세자....정조는 돌아가신 아버지에게 못다한 효를 사후에라도 실천 하고자 용주사를 건립 했기에

                   용주사 곳곳에서는 궁궐의 예법이 들어간 건물들을 볼 수 있다 한다.

 

 

                   삼문을 지나 절 경내에 들어서면 한 눈에 대규모의 누각이 정면에 나타난다.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6호인 '천보루'와 '세존사리탑'

                   천보루의 아래층은 대웅보전으로 향하는 통로로써 여섯 개의 목조기둥아래 높다란 초석이 건물을 받들고 있는데,

                   기둥을 받치는 초석이라기 보다는 그 자체가 석조기둥과 같이 커다란 규모이다.

                   대체로 사원건축에서는 목조기둥을 사용하는 것이 상례이고 이러한 석조기둥은 주로 궁궐건축에서 사용됨으로

                   이 또한 궁궐양식에서나 볼 수 있음을 알게 해 준다.

 

 

 

                   누군가가 쓸어 놓은 정갈한 빗질자국이 마음을 차분히 가라 앉히게 했다.

 

 

 

                                        '홍제루' ..... 천보루의 누각이름이 안쪽에는 차우(此愚) 김찬균(金瓚均)의 글씨로 '홍제루(弘濟樓)'라고 쓰여있다.

                                         밖에서는 천보루, 안에서는 홍제루라고 같은 누각의 이름이 두개로 불리어 진다. 
                                         원래는 천보루였으나 후대에 홍제루라는 별호가 추가되었는데, 그 의미를 굳이 풀이하자면

                                         밖으로는 하늘[天]이 보호[保]하는 곳이고 안으로는 널리 백성을 제도한다[弘濟]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대웅보전'...... 

                                                                                                          사진 출처.....http://blog.daum.net/moontour/1059

 

                    용주사 대웅전을 보고 싶어 왔건만......아~~~ 또  보..수..중....이라니.....ㅠㅠ

                    신륵사에 갔을 때도 보수 중이더만...... 왜~~ 가는 곳마다 보수중인고야!~~~ ㅠㅠ

 

 

                                            내부에 들어서면

                                            구조물 중에서 가장 화려하고 아름다운 '닫집( 대웅보전이라는 불전속에 들어있는 또 하나의 불전이라 한다.

                                            원래 불전은 참배객이 들어설 수 없는 부처님만의 신성공간)이 있다하고 

                                            삼세불과 후불탱화가 보고 팟는데....

 

 

 

                  대웅보전의 보수로 인하여 처음 삼문각을 들어 섰을 때 받았던 정갈한 느낌은 간 곳 없고 ,

                  경내로 들어선 절내는 너무나 어수선 했다.....ㅠㅠ

 

 

                  대웅전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는 범고각,호성전, 지장전이....

 

 

 

                  왼쪽으로는 범종각, 천불전, 시방칠등각이......

 

 

 

 

 

 

 

                  변함없이 이리 늘 기도 해 주시는 울아빠!  

 

 

 

               용주사의  '범종'.....국보 제120호.

 

 

 

 

 

                  부모님을 모시고 단순한 볼거리와 산책겸 나섰던 '용주사'......

                  정조의 효심을 익히 알고는 있었으나 또 이리 눈으로 보고 나서야 깨닫는 이 미련함.....

                  이리 저리 둘러 보며 사진 찍기에 바빳던 내 모습에 저절로 고개가 떨구어 진다......ㅠㅠ

                  .

                  .

                  .

                  점심 식사 후~~~

                  정조의 효심을 또 한번 더 느낄 수 있는 '융건릉'으로...

                  입구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비'가 자랑스런 유산임을 알리듯이 넘 당당히 서 있었다.

 

 

 

                                         소나무 숲길로~~~

                                         왕릉을 대표 하는 수종으로 왕의 장수와 권위를 상징 한다고...

 

 

 

                    입구에서 이어지는 이 울창한 소너무 숲길은 아마도 융건릉에서 가장 아름다운 길이 아닐까 싶다.

                     평탄히 잘 가꾸어진 길이기에 울엄마 걷기에도 불편 함이 없었던 것 같다.

 

 

 

                    '원대황교'...... 명당수인 금천(禁川)을 지나는 원대황교.

                    정조도 원대황교 앞까지 가마를 타고 와서ㅜ 원대황교를 걸어서 건넌 다음 다시 가마를 탓다고 한다.....

 

 

 

 

                   '융릉' ....... '사도세자'와 그의 비 '홍씨'의 능이다. 세종대왕의 '영릉'다음으로 꼽히는 명당이라 한다.

 

 

 

 

 

 

 

                                            융릉에서 건릉으로 이어지는 산책길 .... 정갈하니 잘 정리 되어 있었다.

                                            아버지가 아들에게 가는 길...... 울 엄마 아빠 따라 쫄랑거리며 따라 갔다.

 

 

 

 

 

 

 

                    '건릉'.......  '정조'와 '효의왕후'의 합장릉이다

 

 

 

 

 

 

 

                      '융건릉'의 위치......

                     *융릉과 건릉은 다음 포스팅에 자세히 공부하고.......*^^*

 

 

                    융건릉 입구를 화려하게 지키고 있는 140년이 넘은 향나무~

 

 

                     나무 속살에서 강한 향기가 나서 '향나무'....

                     향을 피우는 것은 부정을 없애고 정신을 맑게 하여 천지신명과 연결하는 통로라 생각하였다 한다.

                     신을 불러 오는 매개체로써 제사를 지낼 때엔  반드시 향을 피우며 여러 종교 의식에도 널리 쓰인다.

 

 

 

                      .

                      .

                      .

                      봄이 가까이 와 있음을 알리는 따땃했던 겨울 날에........... 12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