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간송미술관 가을전시 ........... 111025.

헤라써니 2011. 10. 27. 00:51

                    우연히 간송미술관 가을전시 소식을 듣게 되었다.

                 또 3년전 만났던 '미인도'....... 3년만에 다시 개방한다하니 ....... 꼭 보구 시포서!~~~

                 바쁘다는 칭구한테 부랴부랴 연락 취해 이른 아침 만났다.

                 전시기간이 이달 말까지이고, 주말엔 많은 인파가 몰렸다기에 이번주 아이들 델꼬 여유있게 관람 할까 하다가,

                 오늘(25일) 또한 평일이니까.......했건만...

                 아뿔싸!~~  나도 10시경 도착했는데 벌써 줄이 길다!~~

     

 

 

 

                    이곳 입구를 벗어나기를 한시간이 걸렷구.......

 

 

 

 

 

 

 

                   

 

 

 

                    이곳에서 전시장 입구 까지는 20여 발자국....... 하지만 30분이나 걸렷다...... ^^;;

 

 

 

 

 

 

 

               이번 전시회는 장승업, 신윤복, 김홍도, 김득신 이름만 들어도 조선 후기의 풍속화의 대가들의 그림들이 대거 등장한다.

               중.고등학교때 책에서 봐 오던 그런 그림들 이다....... 눈앞에서 펼쳐지니 신기하기만..... ㅎㅎ

 

               간송 미술관은 1,2층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2층은 작은 작품들 위주로 전시 되어 있으며, 1층은 큰 작품들이 중심이 되어 있었다.

               관람순서는 2층에서 1층으로 내려오는 ......

 

               전시관 내에서도 많은 인파들로 여유있는 관람은 누리기에는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전시되어 있는 신윤복의 그림들......

               곱고 정교하게 그어 놓은 작은 세필의 선부터, 화려한 색채, 선정적이며 은근하며 노골적인 표현들..... 

               쉽사리 자리를 뜨지 못하게 만들었다.....

 

               몇년전 드라마와 영화로 다루어 졌던 신윤복이 생각 났다. 

               '혜원 신윤복은 여자다'...

               물론 극적 재미를 위한 설정이기는 하지만 그의 그림엔 여성이 많이 등장하며 화풍이 섬세하다는 점,

               신윤복이 그려진 영정이 존재 하지 않는 다는 점,  또한 그의 생애가 전혀 알려 지지 않다는 것등이 더 부추겼을 듯 하다.

 

                   '월하정인' .... "달은 기울어 밤 깊은 삼경인데, 두 사람 마음은 두 사람이 안다 (月沈沈夜三更 兩人心事兩人知)." 라고 씌여 있습니다

             

 

                 '월하정인'의 시간적배경.

                

                

 

 

             “1793년 8월21일 11시50분” 이태형 충남대 천문학 교수, 그림 속 달 분석

                 조선시대 3대 풍속화가인 혜원 신윤복의‘월하정인(月下情人)’은 언제 그려진 것일까?

                 그 단초를 천문학으로 풀어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2일 이태형 충남대 천문우주과학과 겸임교수에 따르면‘월하정인’‘달' 의 모양과 위치 등을 분석한 결과,

                 이 그림은 1793년 8월21일 밤 11시50분께 그려진 것으로 추정됐다.

                 그림 속 달의 볼록한 면이 위를 향하고 있다는 점이 첫 번째 단서다.

                 한 달 주기로 달이 차고 이지러지는 과정에서는 결코 볼 수 없는 현상이다.

                 달이 뜨는 밤에 태양이 지평선 밑에 있기 때문에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 반사하는 달의 볼록한 부분도 아래를 향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그림 속 달의 모양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월식이 있을 때만 가능하다.

                     또 그림 속 글에는 시간대가‘夜三更(야삼경)’으로 적혀 있다.

                 이것은 밤 12시 전후의‘자시(子時)’를 의미한다.

                 월식이 일어나는 날은 보름달이 뜨는 날이며, 보름달은 자시 무렵에 가장 하늘 높이 떠오른다.

                 그런데도 그림 속 달이 겨우 처마 근처에 걸려 있다는 것은 달의 남중고도(南中高度)가 낮은 여름이라는 뜻이다.

                 이 같은 추정을 바탕으로 이 교수는 혜원이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약 100년 동안

                 서울에서 관측 가능한 부분월식에 대한 기록을 조사했다. 이 결과 1784년 8월30일과 1793년 8월21일 두 차례의 부분월식이 확인됐다.
                 그러나 1784년에는 8월29일부터 31일까지 서울 지역에 3일 내내 비가 내렸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월식이 나타났어도 관찰할 수 없었다.

                 반면 1793년 8월21일에는 오후에 비가 그쳐 월식 관측이 가능했다.

                 결국 혜원의 ‘월하정인’은 1793년 8월21일 자정께 그려졌다는 것이 이 교수의 주장이다. 

                 이 교수는 “월야밀회(月夜密), 정변야화(井邊夜話) 등 다른 그림의 달에서 볼 수 있듯이 혜원은 사실과 무관한 상상의 달을 그리지 않았다”며

               “특히 월하정인의 위로 볼록한 달은 일상에서 거의 볼 수 없는 것인 만큼 실제로 달을 보고 그렸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ㅡㅡㅡ 펌 해온 글 (중앙일보 기사 에서 발췌) ㅡㅡㅡ

 

 

                 '단오풍정'                                                                                        '주유청강'

          

 

               '연소답청'                                                                                                           '쌍검대무'

      

 

 

              신윤복이 그린 대표적 미인도.

             비단 바탕에 수묵담채. 세로 114㎝, 가로 45.2㎝. 간송미술관 소장.

             옷주름과 노리개를 두 손으로 매만지며 생각에 잠긴 듯한 젊은 미인의 서 있는 모습을 약간 비껴선 위치에서 포착해 그린 것이다.

             조선 후기 여인의 아름다운 자태와 순정이 신윤복 특유의 섬세하고 유려한 필선과 고운 색감, 정확한 묘사에 의해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당시의 사치풍조를 대변해주는 큰 트레머리는 맑고 앳된 얼굴과 가냘프게 생긴 목과 어깨를 더욱 단아한 느낌이 들게 하며,

             짧은 소매와 좁은 저고리는 부푼 치마폭과 대비효과를 이루면서 당시 여성한복의 유형을 보여준다.

             특히 바탕색과 흑갈색 머리빛, 옷고름과 동정, 반호장의 자주색과 치마의 담청록색이 자아내는 근접 보색대비는 이 그림의 세련미를 한층 높여주는 구실을 한다.

             조선 후기의 현실적 소재를 다룬 이 그림은 이 방면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 여인의 전통적 미인상의 한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洪善杓 글

 

           

 

           

             신윤복의 화려하고 참신한 색체감에 반면 김홍도는 서민들의 건전한 생활과 풍속을 화폭에 담았으며,

             그의 풍속화에는 서민생활 구수한 해학과 점잖은 풍자가 곁들여 있다.

             이렇듯 신윤복과 김홍도는 서민생활을 다루는 소재 뿐만아니라 표현기법도 판이하게 다르다.

                                                                  

             김홍도의 '마하청앵'                                                                '월하취생도'

      

 

               

               미술관 나오자 마자........ ㅎㅎ

 

 

                줄서기에 지체된 시간으로 인해 칭구와 수다도 시원스레 못 풀구....

                근처에 '길상사와 심우장'도 들러 보구 싶었는데....^^;;

                부지런히 지하철역을 향해 걸어 내려 왔다.

                헐!~~~ 간송미술관에서 부터 성북파출소꺼졍 늘어선 줄....... 으 으 으 .....

                .

                .

                111025.